| 시기 | 제목 | 역·저자 | 형태 | 비고 | |||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시기2017.9 | 제목 임진왜란 기록물 ‘징비록’ 남긴 류성룡 | 역·저자신병주 | 형태 학술기사 | 비고매경이코노미 1925호 | |||||
| 시기2017.9 | 제목 임진왜란기 유성룡의 경기 방어구상과 군비강화책 | 역·저자김한신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조선시대사학보 82 | |||||
| 시기2017.9 | 제목 전란의 책임 뒤집어 쓴 유성룡 | 역·저자김준태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이코노미스트 통권 1402호 | |||||
| 시기2017.8 | 제목 서애 류성룡家의 자녀 교육, 이기적인 인재를 경계한 정도 공부 | 역·저자최효찬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교육과 사색 통권 58호 | |||||
| 시기2017.4 | 제목 무인이면서도 독서광이었던 이순신의 리더십 | 역·저자박수밀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독서경영 Vol 2 | |||||
| 시기2017.3 | 제목 서애 류성룡의 양명학 비판 | 역·저자최종호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동아인문학 38호 | |||||
| 시기2017.6 | 제목 조선은 나라가 아니었다, 류성룡의 한탄이 아직도 | 역·저자임영호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경제풍월 통권 214호 | |||||
| 시기2017.6 | 제목 미래를 위한 회한의 기록 ‘징비록’ | 역·저자한명기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SERICEO monthly.v 36 | |||||
| 시기2017.8 | 제목 임진왜란시 소년 류진(柳袗)의 피란 경험과 그 전승 | 역·저자우인수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민족문화논총 66집 | |||||
| 시기2017 | 제목 ‘약무호남시무국가’ 계책의 의미와 미래지향적 과제 | 역·저자조신호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이순신연구논총 통권 27호 | |||||
| 시기2017.2 | 제목 서애 유성룡의 전략적 리더십과 그 시사점 | 역·저자오완석 김덕수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교육연구 31집 2호 | |||||
| 시기2017.2 | 제목 왜란 ‘징비록’ 남긴 대감 유성룡 | 역·저자황원갑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경제풍월 통권 210호 | |||||
| 시기2017.2 | 제목 유성룡의 ‘징비록’ 연구 | 역·저자장준호 | 형태박사논문 | 비고서강대학교 대학원 | |||||
| 시기2017.2 | 제목 징비록을 읽으며 | 역·저자이종선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묵가 133호 | |||||
| 시기2017.1 | 제목 이이의 십만양병설은 사실인가, 당파싸움이 가져온 비극의 역사왜곡 오늘날까지 이어져 | 역·저자김수지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대동문화 통권 98호 | |||||
| 시기2017.5 | 제목 서애 학맥의 역사와 공간 | 역·저자연세대서애학술연구단 | 형태일반도서 | 비고서애학술연구총서 3 | |||||
| 시기2016.2 | 제목 서애 경세론의 현대적 조망 | 역·저자연세대서애학술연구단 | 형태일반도서 | 비고서애학술연구총서 2 | |||||
| 시기2016.6 | 제목 임진왜란 시기(1592-1596년) 류성룡의 대건주여진 관방론 연구 | 역·저자황종엽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군사(軍史)연구 141집 | |||||
| 시기2016.12 | 제목 서애 류성룡의 초사(楚辭) 수용의 미의식 | 역·저자신두환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동방한문학 69집 | |||||
| 시기2016.12 | 제목 최영경의 신원에 대한 고찰 | 역·저자조인희 | 형태학술기사 | 비고한일관계사연구 55집 | |||||
	    
  |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


